뉴스경산

키오스크의 시초와 발달

2025. 3. 20. 오전 4:07:02

키오스크의 시초와 발달

정보전달용 키오스크의 시초와 발달

1. 키오스크의 시초

정보전달을 위한 키오스크의 개념은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 1977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머레이 라파포트(Murray Lappe) 박사가 최초의 터치스크린 기반 키오스크를 개발했습니다.

  • 이 키오스크는 대학 내 학생들에게 캠퍼스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 키오스크의 발전 과정

  • 1980~199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박물관, 공항, 쇼핑몰 등에서 정보 제공용 키오스크가 도입됨.

  •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사이니지와 결합하여 광고, 홍보, 정보전달 기능이 강화됨.

  • 현재: AI,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얼굴 인식 기술과 결합된 인터랙티브 키오스크가 발전 중.

어느 나라에서 가장 잘 발달했는가?

미국

  • 키오스크의 발상지이며, 공항, 쇼핑몰, 박물관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

  • 뉴욕 타임스퀘어,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의 디지털 사이니지가 대표적.

일본

  • 터치스크린 기술과 결합된 정보 키오스크가 대중화됨.

  • 지하철, 관광지, 상점에서 키오스크 활용도가 높음.

한국

  • 디지털 정보화와 IT 인프라가 뛰어나며, AI 기반 키오스크 기술이 급속히 발전.

  • 대형 쇼핑몰(코엑스, 롯데월드몰), 공공기관, 병원 등에서 정보전달용 키오스크가 광범위하게 사용됨.

모범적인 키오스크 사례

1. 일본 도쿄역 '스마트 관광 키오스크'

  •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관광 안내 키오스크.

  • AI 챗봇이 실시간으로 질문에 답변.

  • 주변 관광지, 길찾기, 날씨 정보 제공.

2. 미국 라스베이거스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 대형 쇼핑몰 및 카지노에서 광고 및 정보 제공용으로 활용.

  • 3D 인터랙티브 기능을 적용해 소비자 맞춤형 광고 제공.

3. 한국 '롯데월드몰 디지털 키오스크'

  • 쇼핑몰 내부에서 매장 검색, 이벤트 정보 제공, 길 안내 기능 제공.

  • 모바일과 연동하여 QR코드 스캔 후 핸드폰에서 길찾기 기능 이용 가능.

결론

정보전달용 키오스크는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일본, 한국이 가장 발달한 나라로 평가됩니다.

한국은 IT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쇼핑몰, 관광지, 공공시설에서 혁신적인 키오스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AI 및 증강현실(AR)과 결합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